빨간명찰 Viet nam veterans

[스크랩] 호국보훈의 달 맞이하며../월남전의 회상

마블마운틴 2012. 6. 5. 10:48

                    제3부두/이별 그리고 재회의 기약

 

152870254C016668208B2E

                                             월남파병 환송 국민대회 환송사 (1965년2월9일)

              

                    출정장병 여러분!
                    여러분들 양 어깨에는 조국의 명예와 2천7백만 민족의 한결같은 기대가
                    걸려 있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그리고 여러분은 국군 중에서 선발된 가장 정예라는 긍지를 가지십시오.
                    여러분에게 부하된 임무를 훌륭하게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군기엄정하고 용감무쌍한 국군 의 전통을 더욱 빛나게 해 주실 것을 당부합니다.
                    여러분을 떠나보낸 우리 국민들은 여러분의 노고를 결코 헛되이 하지 않도록
                    더욱 분발해서 경제건설에 총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하느님은 자유의 십자군인 여러분의 장도에 반드시 가호가 있을 것이며,
                    영광을 베풀어 주 실 것입니다. 

                    끝으로 여러분의 건투와 무운장구를 기원하는 바입니다.


                                                                                           대통령  박정희

                  

                                월남전 참전 한국군  부대

 

               

                             파월장병교육대  오음리 훈련기지 훈련중 휴식시간 한때

                    파월1진을 제외한 대부분 월남전 참전용사들은 오음리를 잊지 못한다.

                    그곳은 월남전선 으로 가기전 4주동안 교육으로 땀흘린 곳이며 죽음을 각오한

                    대장정의 첫 출정기지 였으니 말이다

                    파월장병은 오음리 교육장에  입교해서 월남쟝글속에서의 적응 및 유격훈련 그

                    리고 동굴수색훈련 월남전에 필요한 적응훈련을 한달간 받고 전쟁터로 떠났다..

 

                                                     1966년 8월 백마부대 월남파병 환송식 장면


                  시가행진에서 환송의 꽃다발을 걸어주는 여고생들

                  풋풋한 여고생 였던 그들 지금쯤은   어떻게 변했을까?
                  36년이 지났으니  우리 랑 같이 늙어 가겠지....

165AB5114C01528A048CB6

                                  파월장병 특급열차 ~ 용산역에 잠시정차 그리고  부산 3부두로..

             

                 1965년부터 1973년까지 그 사이에  군대생활을 한 우리들은

                 월남전 파병이라는 특별한 경험을 갖게된다.

 

                 군대가 없으면 국가의 존재도 힘들다

                 대한민국 남자라면 국방의 의무를 마쳐야만 한다.

                 그것은 군대에 입대하면 개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국가의 명령이라면  까라면 까야되는것이다.

                 먼 이국의 전쟁터로 떠나는 우리들은 치솟는 눈물속에서도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어야 하는 군인으로서, 이 나라 안보와 경제성장이라는

                 국가적 사명을 위해  한목숨 바치고저 참전했다.

 

                 건국이래 최초의 월남파병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주는 동시에 또 다른 희생과 아픔을 주었다.

                 인간의 선과 악이 치열하게 싸우는 그 비극의 현장에 우리의 젊은 병사들이 피흘리며 싸운

                 그 월남전 의 비극이 망각속에  잊혀져 가는 지금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껏인가 생각해본다.

1830580E4C01568B0E03EE


                 지금 생각해 보면  이국 의 전쟁처 로 향한

                 지난날이  지나고보니 그것이 아련한 추억이 되었지만,

                 그 당시 파월하는 개개인 마음은 처음으로겪는 전쟁에 대한 공포는 

                 체념에 가까웠을 것이다.
                 죽느냐 사느냐는 하늘에 맡기고 전우와 전우가 서로 의지하며

                 그것이 자의였든 타의 였든 명령 이라면 까라면 까야 된다는

                 심정으로 함께 배에 타게되는 것이다.

  


 

                 전쟁터로 가는 우리들을 환송한다고 부산에 가까운 고등학교 학생들이

                 순차적으로 부두에 나왔다.
                 경남여고,부산여고,부산여상, 동주여상,남성여고,

                 등의 합창단에 의해 "잘있거라 부산항" 의 노래는 계속 연속으로 울려퍼졌고.....

 

                 조기~ 검정무뉘치마  당신 첫 사랑의 모습도보인다~^^*

                

                 떨어지는 낙엽잎 하나. 바람에 쇠똥 굴러가는모습 을 보고도 까르르  웃던~

                 들꽃 닮은 내 첫사랑 단발머리 체크무늬 교복치마는

                 지금  어디서 뭘하고 사는지..  잘 살고 있겠지.....

 

이기고 돌아오라~~경남여고 학생들  

             

              경남여고 학생들의 염원은 이기고 돌아오라. 

              오빠예~  잘다녀 옵세예~ !
              살아서 옵세예 !  지금도 귀에 쟁쟁 한데.....

 

              오빠 살어 돌아오세요~한마디에 목이메인다...

 

             

환송 나온 부모형제 사랑하는 그녀들 모습 점점 멀어져가고, ...

 

              떠난다는 것은 슬픈 일 이다. 
              정든 가족, 정든 애인, 정든 친구, 정든 고향,
              정든 물건과 영원일지도 모를 아픔을 안고

              떠난다는 것은  참으로 괴롭고 슬픈 일이다.

              이제 떠나면 다시 돌아올까?

              막연한 생각이지만 기다림이 있기에

              삶은 견딜만 한 것 일껏이다.

 

              그러게 또 한무리의 대한의 아들들은 어머니와 누이들의 눈물을

              뒤로 한 채 그렇게 떠나갔다.......

 

201B2D1B4C01612E168E15

                             해군 수송함  배럿(Varrot)호 에 몸을실고 월남전으로 떠나는 백마부대 용사들

                보병 9사단 백마부대는 선발대에 이어  9사단장 이소동 소장 지휘하에 1966년 9월16일  부산3부두을통해 출진

                1966년 9월 22일 월남나트랑 에 상륙하여 인근지역에 주둔하게된다.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거만, 형제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우네~♪
             돌아와요, 부산항에~그리운 내 형제여~~♬

 

             참, 많은 우리전우들이  이 항구을 떠나갔다가.

             다시돌아왔고  혹은 뼈가루로 돌아왔다.
             남 십자성 아래 머나먼 이국의 전쟁터에서 죽어가고 

             또는  영문도 모르는 햐얀 가루를 마시다가,  
             자식이 알지도 못하는 유전병에 걸리는 고엽제를 심장에 
             가득히 모르게 담아서 돌아오기도한다.

 

             떠남, 이별, 그리움, 만남....
             기록되지 않는 수많은 떠남과 돌아옴은
             다시 만남을 기약하며 오늘도 슬피울어대는 갈매기 와

             무심히 흐르는 저조각구름은 말이없는데...

             이별의 아픔 만이 부산항에 가득하다.

 


 베트남으로 가는 수송함에서 조난대피 훈련 및 소양교육을 갑판에서 진행했다.

 


미해군 수송함  배럿(Varrot)의 사병 식당 에서....
생전처음 타보는 미해군 수송선 이라 모든 것이 신기하다.
첫날 넓직한 식당에서 양식으로 신선한 과일과 식사를 했다.

먹어도 먹어도 배고픈 시절 또 먹기위해 다시 줄을선 기억이 새롭다.

노란 오렌지 소다수 가  왜 그리 달콤 했던지......  

 

                              백마부대 선발대 월남 나트랑 상륙(66.8.9)

               

            낯선땅   월남~

            수송선에서 소형 LCU 상륙정에 옮겨타고 해안에 내린다.
            체념한 마음으로 전쟁터에 왔는데, 

            남십자성 야자수 바나나밭 이국의 경치인들 어찌 눈에 들어오겠는가?
           

            처음 겪어보는 전쟁터의 실감도 느껴 볼겨를도없이..

            실전에 대한 두려움

            문득 고개을 들어 하늘에 보니  꾸물대기는 하지만 

            정처없는 구름 한조각도 보이고.....

 

             135AD31C4C0171160D3C36 
                                     1967년 8월 월남늪지대에서 작전중에 맹호부대 전우들

             쟝글을 누비며

             그리고 전투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베트남에서 작전을 벌이고 있는 해병 2여단  청룡부대 해병대원들

 

백마독수리 30연대 작전 (1967.11.27)중에서

 

왜 싸우는지는 생각하고 싶지않다.

이순간 중요한것은 그저 이전투에서 살아남는것이 

솔직한 심정 이었으랴...... 

이한장의 사진   플리쳐 대상감이다.....

    

165186244C01691614DD55

                                            짜빈동 전투중 에서 청룡부대원들

           대부분 의 파월장병들은 1년 파월근무후에는 한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다시 교체병력이 오는것이다.

           그렇고 그러케  돌고 돌는 물레방아처럼 ....전쟁의시간과

           평화의 시간은 교체되고.....

          
                      해병 청룡부대   먼저간 전우를 보내면서

            아~ 타국에 뭍힌 혼백(魂魄)들이여~ 지..못..미...지켜 주지 못해 미안하다.

            타국의 구천땅 에 머믈지말고 내 이제 고국의  자리로  옮겨 편안히 잠들게 하리라~

            왜 이렇게  목이 메이노... 눈물이 빗물되어  쏟아지는데...

            무심한 하늘아~  이 애통한 마음 씻어내리는 소나기 라도 한바탕 내려주시지........

 

1921090D4C01592F247409

                                      먼저 산화한 전우들을 가슴에 품고  월남 전선을 떠나며.....

 

           체념한 듯 내렸던 그 해변에서

           귀국하는날.


           만남이 있으면 이별이 잇었던가?

           회자정리(會者定離)요,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
           만난 것은 헤어지고, 난 것은 반드시 사라진다.’ 는 섭리의 말을 믿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사람의 정이 그렇지 아니하니 그립고

           또 보고 싶음이 어찌 말로서 다 할 수가 있겠는가?

 

           잘있거라~ 월남땅이여~

           언제가  또 다시 돌아 오련다~

           인생은 어차피 너와 나와 만남인 동시에
           너와  나와의 헤어짐 이다
           이별 없는 인생이 없고
           이별이 없는 만남은 어디 있겟는가? 

           살아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죽음이 오고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져야 한다 .
           우리는 이 세상에서 영원히 사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남은 전우들....그리고 영원히 돌아오지못한 전우들을 가슴에 품고

           돌아서는데  왠지 모를 슬픔 에 목이 메인다.....

        

 
             귀국환영식 ~

             떠날 때는 같이 갓던 전우가 안보이면 ,

             하늘이 무너져 내리고 가슴이 찢어지는 아픔

             이별의 고통이지만......


             자유의 십자군

             국위를 떨친 개선장병.

             그 공훈 길이 빛난단다....

             

 

           고국땅에 도착한 환희를 느낄 수 있는 순간.
           나를 환영하는 이름표도 있을까?
           저기~ 당신 이름표 도 보이네.....

 

1659AC1C4C01BD807DC9D0

                       고엽제 로 인한 피해

                       나무가지만 앙상하다

      

             그리고........후유증

             비행기로 뿌린 고엽제를 맞은 야자수...나무 젓가락이 되었다.

             이런 고엽제을 아무것도 모른채 맞고 다녔으니......

             심지어 어떤 전우는 미군이 뿌려대는 것을 모기약인줄 알고

             일부러 몸에 접하기도 했단다..

             밤에 모기가 오지 못하게 하려구........

            가슴 아프고 슬픈전설같은 이야기 다~

 

            이렇케 미군이 살포한 고엽제(枯葉劑)는 아직도 수많은 참전 용사들에게

            아직도 고통과 회한의 상처로 남아 있는것이다 .

 

14797D164C01FAF97496CA

                               

                             월남전 참전 장병 덕분에 조국은 근대화를 이룩했고 자주국방의 토대를 닦았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그리고 번영의 터전'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불한 댓가는 너무나 많은 피와 희생이 필요한 것 이였다 .

 

                             대한민국의 국익과 동아시아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던 월남파병 장병 4,624명이

                             이역만리 땅에서 목숨을 잃었고

                             1만 7천여 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현재 7만 2천여 명이 고엽제로 인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이것이 작금의 현실인바 위정자 들은 이제라도 경제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어렵게 살아가는

                             희생당한  파월 장병 들에게 진정 국가유공자로써의  

                             위상에 맞는 합당한 대우 을 해 주어야 만 한다.

 

                                                                                          호국보훈을 달을 맞이하여

                                                                                                     월남전을회상하며 ...                                       

                                                                                                                      

                                                                                                                  동백섬 ~

                             

출처 : 서북미 베트남참전 국가유공자 전우회
글쓴이 : 동백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