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명찰 Viet nam veterans

[스크랩] 부대 마크

마블마운틴 2014. 1. 9. 08:41

1 개요

군인이 자신이 소속된 부대를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는 엠블럼. 군복 이외에 군기(軍旗)등 해당 부대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자 표현으로 부대표지(部隊標識)라고도 한다. 군내부에서는 부대표지가 정식용어이나 다들 부대마크라고 부른다. 보급품수령 확인서나 군수과에서 쓰는 프로그램 같은 데에서는 부대표지라고 표기되어 있다.

부대마크는 보통 사단 단위로 있으며 일부 독립여단도 부대마크가 있다. 야전군, 군단의 사령부에 소속된 군인들은 각각 야전군, 군단 단위로 부대마크가 있다. 야전군은 아라비아 숫자로, 군단은 로마숫자(수도군단, 6군단 제외)로 해당 부대마크가 표기되어 있다.

국군에서는 육군만 부대마크를 단다. 국방부 직할부대와 합동참모본부, 해군, 공군, 해병대는 군복에 부대마크를 부착하지 않는다. 단 공군조종사의 조종복에는 부대마크를 부착한다.

2 역사

부대마크는 본디 컬러풀한 원색이지만 2005년부터 위장효과 증가를 이유로 흑색/녹색 위주의 저시인성 마크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다만 이는 전투복에 부착하는 마크에만 해당되고 정복, 근무복, 부대기 등에는 여전히 원색 마크를 사용. 예비군 훈련때 부대마크가 원색이냐 저시인성이냐로 짬의 우열을 가리기도 한다.그래봐야 부대 앞 군장점에 가면 원색마크 다 팔고 있다 하지만 원색마크와 저시인성 마크가 혼용 되던 과도기 시점인 2005년 ~ 2006년 사이에 원색 마크로 전역이 가능했던 인원들 중에서도, 부대에 따라 저시인성 마크 배색이 멋있게 나온 경우 일부러 원색마크 대신에 저시인성 마크를 달고 전역하기도 했다. 수색대 흉장은 위장색으로 바뀌었지만 비표는 아직도 컬러를 쓴다. 공군의 경우는 이 무렵을 즈음하여 부대마크를 아예 부착하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3 착용법

소속부대의 마크를 전투복 상의와 야전상의의 좌측 상완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일부 병력들의 경우 지원부대의 마크를 우측 상완에 별도로 부착하기도 한다. 일부 군단 직할대 소속 병력의 경우 군단 마크를 좌측 상완에, 예하 사단 마크를 우측 상완에 함께 다는 기이한 모습을 볼 수도 있으며, 군수지원사령부(군지사) 소속인 경우 좌측 상완에 소속부대인 군지사 부대마크를 우측 상완에 지원부대인 군단 또는 사령부 마크를 함께 달기도 한다.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전방지역 군병원 소속 의무병들은 국방부 직할 소속인지라 좌측 상완에 부대마크가 없는 대신에, 지원하는 군단 또는 사령부의 마크를 우측 상완에 붙이고 있기도 하다.

그외에 가슴팍에 부착하는 흉장과 비표도 존재한다. 흉장은 특전사, 특공대, 수색대, 정찰대, 일부 토우중대 등의 부대들이 흉장을 부착한다. 부착위치는 상의 오른쪽 주머니. 비표는 소속 연대, 대대를 표시해주는데, 주로 상의 왼쪽 주머니 위쪽에 부착하며, 대부분의 경우 비표 색깔이 소속 연대, 비표에 써있는 문자, 숫자, 도형(★이나 ■와 같은)의 개수가 소속 대대를 나타낸다.

보통 예비군 훈련에 가면 대한민국 모든 부대에 있던 사람들이 다 모이게 된다. 이때 서로 자신이 입은 전투복의 부대마크를 가리키며 내가 있던 부대가 제일 힘들었다느니 빡셌다느니 하는 식의 이야기를 시작하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상급부대마크일수록 땡보로 오해 받기도 한다.

4 부대마크 목록

다음은 대한민국 국군의 모든 부대/전단/함정마크를 정리한 표이다. 단, 현재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통폐합되어 없어진 부대도 몇몇 있으며, 부대마크가 변경된 케이스가 일부 있을 수 있다. 예로 3사단31사단, 73사단의 부대마크가 변경되었다.

4.1 육군

ROKAmark2.jpg

4.2 해군

ROKNmark.png

ROKNmark2.png

ROKNmark3.png

4.2.1 해병대

ROKMmark.jpg

4.3 공군

ROKAFmark.jpg

ROKAFmark2.jpg

ROKAFmark3.jpg

 

  출처 /엔하위키  

출처 : 서북미 월남참전 국가유공자 전우회
글쓴이 : 동백섬 원글보기
메모 :